리서치
네이버 기술과 서비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를 공유합니다
-
썸네일 이미지
웨일 리포트 2022
웨일 리포트 2022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교육 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다양한 학습 콘텐츠와 관리 기능이 포함된 ‘디지털 교육 플랫폼’은 K12 공교육 현장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오프라인 중심이던 교육 환경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어려움이 드러나기
2023.01.27 -
썸네일 이미지
NAVER-SAPI AI 리포트 : 2022 케이스 스터디 - 지식인터랙티브, 클로바 케어콜
AI 윤리 준칙의 실천 사례 공유 네이버는 서울대 인공지능정책 이니셔티브(Seoul National University AI Policy Initiative, SAPI)와 함께 진행한 공동 웨비나에서 네이버 AI 윤리 준칙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이후 네이버는 AI 윤리 준칙을 모든 구성원들이 자연스럽게 실천해 가는 기업문화로 만들기
2022.12.30 -
썸네일 이미지
D-Place Report 2022 Part 1. 스마트플레이스 솔루션의 오프라인 사업자 지원 효과
D-Place Report 2022 Part 1. 스마트플레이스 솔루션의 오프라인 사업자 지원 효과 2021년 처음 공개된 ‘D-플레이스 리포트’는 실증 분석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이 로컬 및 오프라인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 효용을 확인하고, 로컬 및 오프라인 상점들의 후생을 한 단계 더 도울 수 있는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2022.12.28 -
썸네일 이미지
D-Commerce Report 2022,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지원 확대에 따른 다양성 증진 및 생태계 확장 효과
D-Commerce Report 2022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지원 확대에 따른 다양성 증진 및 생태계 확장 효과 다양성 증진을 통해 이커머스 생태계를 확장해온 스마트스토어 네이버는 기술이나 자본이 없더라도 누구나 온라인 스토어를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스마트스토어 플랫폼을 제공해왔습니다. 사업자들이 판매에만 집중할
2022.12.21 -
썸네일 이미지
네이버 디지털 생태계 리포트 2022
네이버 디지털 생태계 리포트 2022 다양하고 개성 넘치는 가게, 판매자, 창작자들이 더 많아질수록 네이버 디지털 생태계는 더욱 풍부해 집니다. 네이버 생태계 참여자의 성장은 네이버의 성장과 직결되어 있기에, 네이버는 첨단 기술력과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중소상공인, 로컬 비즈니스, 창작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자와 만나고 누구
2022.09.14 -
썸네일 이미지
언택트 워크플레이스 리포트, 네이버 신사옥의 비대면 업무 환경 구축
코로나 시대 새로운 오피스에 대한 고민 언택트 워크플레이스 리포트는 코로나라는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피스에 대한 네이버의 고민과 노하우를 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언택트 워크플레이스 리포트에서는 구성원의 안전을 위해 방역 및 소독 등 비대면 업무환경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지와 함께 업무환경에서 새로
2022.06.13 -
썸네일 이미지
로컬 브랜드 리뷰 2022(Local Brand Review 2022) - Living
로컬 브랜드는 어떻게 글로벌 브랜드가 되나? - Living 저서 '골목길 자본론'과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등을 통해 로컬 크리에이터와 그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계신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모종린 교수와 연구팀이 네이버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로컬 브랜드를 발굴하고, 성장 지원 방법을 고민한 결과를 정리하여 '로컬
2022.03.04 -
썸네일 이미지
테크핀 리포트 2021,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테크핀 서비스
기술과 데이터를 이용해 금융접근성을 높이는 네이버파이낸셜 '테크핀리포트'는 데이터 활용과 기술 발전이 금융분야에서 가져올 수 있는 실질적 효용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금융서비스의 접근성을 제고하는 혁신 금융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테크핀 리포트에서는 데이터와 기술을 활용해 차별화된 혁신금융 서비
2022.02.17 -
썸네일 이미지
로컬 브랜드 리뷰 2022(Local Brand Review 2022) - Food
로컬 브랜드는 어떻게 글로벌 브랜드가 되나? - Food 저서 '골목길 자본론'과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등을 통해 로컬 크리에이터와 그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계신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모종린 교수와 연구팀이 네이버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로컬 브랜드를 발굴하고, 성장 지원 방법을 고민한 결과를 정리하여 '로컬 브랜
2022.01.24